본문 바로가기
산행 사진 및 정보/호남.영남.제주

합천군 가야산

by 아마츄어 2014. 9. 22.

1451~N102    합천군  가야산 [伽倻山]   1.430m

날   짜    :  2014년 9월 21일 일요일  

산행지    :  합천군 가야면, 경 성주군 가천면,

날   씨    :  영상 27도  맑음

산행자    :   아름다운산행 의정부 44명 편승 & 나홀로산행  DS2BGV

산행거리 :  약 10km (gps수치)

산행시간 :  6시간  (점심포함)

산행코스 : 백운동 주차장- 서성재-정상 우두봉 - 만물상 - 원점회귀

 

 

 

 

명칭유래

가야산은 선사시대 이래 산악 신앙의 대상으로서, 고려팔만대장경판을 간직한 해인사를품에 안

은 불교성지로서, 그리고 선인들의 유람과 수도처로서 이름을 떨쳐왔다. 그런 이유로가야산은

민족의 생활사가 살아 숨쉬는 명산이자 영산(靈山)이라 일컫을 만하다.가야산의 이름은

가야산 외에도 우두산(牛頭山)·설산(雪山)·상왕산(象王山)·중향산(衆香山)·기달산(怾怛山) 등

여섯 가지가 있었다고 한다(新增東國輿地勝覽 卷30). ≪택리지≫에 가야산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떠나 있으면서도, 그 높고 수려함과 삼재(三災 : 旱災·水災·兵禍)가 들지 않는

영험함을 말하여 명산으로 불렸다.

가야산 지명의 유래에 관하여는 두 가지의 설이 있다. 먼저의 주장은 가야산이 있는 합천·고령 지방은

 1,2세기 경에 일어난 대가야국의 땅으로, 신라에 멸망한 뒤로 처음에는 대가야군으로 불렸다. 따라서,

 이 산이 대가야 지방을 대표하는 산이며 가야국 기원에 관한 전설도 있는 까닭에, 옛날 가야 지방이라는

 역사적 명칭에서 가야산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주장은 인도의 불교 성지 부다가야(Buddhagaya) 부근 부처의 주요 설법처로 신성시되는

가야산에서 이름을 가져 왔다는 것이다. 또, 이 산의 정상부가 소의 머리처럼 생겼고,

오랜 옛날부터 산정에서 행하여지는 산신제의 공물을 소에 바치고 신성시하여 왔다.

즉 불교가 전래되기 이전의 이름은 우두였다. 그런데 불교가 전래된 뒤 범어(梵語)에서

‘가야’는 소를 뜻하고, ‘가야산’은 불교 성지이므로 ‘가야산’이라는 이름으로 정착되었다고

보는 것이 또 다른 주장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봉 상왕봉의 ‘상왕’은 ≪열반경≫에서 모든 부처를 말하는 것으로, 이 또한

 불교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결국 ‘가야산’이라는 명칭은 이 지방의 옛 지명과 산의 형상, 산악 신앙,

 그리고 불교 성지로서의 다양한 의미를 함축한 것이다.

가야산 [伽倻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산행 사진 및 정보 > 호남.영남.제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송군 주왕산  (0) 2014.10.20
봉화군 청량산  (0) 2014.10.06
고흥군 팔영산  (0) 2014.09.15
문경시 황장산  (0) 2014.08.25
전남 해남 두륜산  (0) 2014.08.19